2022.10.08 - [분류 전체보기] - 한국 민속문화 이야기 - 24절기에 대한 필자의 시작 글
◈ 24 절기 이야기
1. 대설(大: 클 대 / 寒: 찰 한) 1월 20일
24 절기 중 24번째 마지막 절기에 해당한다. 대한은 한자 그대로 '큰 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실제 날씨는 그다지 춥지 않다고 한다. 대한을 지나고 나면서 겨울 추위도 점차 물러간다고 한다. 그래서 대한의 마지막날(절분:입춘의 전날 밤)을 겨울의 끝으로 보기도 했다.
옛날 풍습
- 해넘이 : 대한이 지나면 겨울이 끝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절분을 한 해의 마지막 날로 여겼었다. 그래서 이때 '해넘이'라는 풍습이 이뤄지곤 했는데, 방이나 마루에 콩을 뿌려서 나쁜 귀신을 쫓고 새해를 맞이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신구간(대한 후 5일에서 입춘 전 3일까지의 약 일주일) : 입춘이 다가오기 전에 집을 수리하거나 정리하며 봄을 맞을 준비를 했다.
관련 속담
- 대한 끝에 양춘이 있다. : 대한이라는 큰 추위의 고비만 넘으면 따뜻한 봄이 올 것이라는 의미의 속담으로, 현재의 어려운 상황을 잘 극복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데 있다.
-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 : 대한보다 소한이 추워서 그때 얼었던 얼음이 대한에 이르면서 날이 풀려가는 것을 뜻한다.
2. '대한' 활동
- 집 청소 및 정리
- 국립민속막물관 <옛사람들의 방한 방법과 전통 방한 용품 만들기> : 안타깝게도 신청 기간은 지난 것 같다. 그래도 각 가정에서나 박물관을 견학하면서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도 있을 수 있으니 '활동'에 첨가해 보았다. 이것 외에도 정말 많은 활동요소들이 있으니 꼭꼭 기한을 체크해 뒀다가 체험활동을 해보면 좋을 것 같다.
3. 마무리
대한이 소한보다 안 춥다고 했는데 한국은 어떤지 모르겠다. 이탈리아에서 살고 있는 지금은 소한까지도 '응? 별로 안 춥네?'라고 생각했었는데, 이후로 점점 추워지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다. 이젠 귀마개랑 장감까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런데 이탈리아 사람은 '올 겨울은 별로 안 춥네?'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24 절기 대한을 통해 '대한 끝에 양춘이 있다'라는 속담을 알게 되었는데 필자가 좋아하는 문구다. '고생 끝에 낙이 있다'이 말을 믿고 또 이 말이 이뤄지기 위해 노력하는 나 자신을 보면 열심히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특히나 요즘 근 5년간은 정말 눈물 속에서 살아갔다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요즘 조금씩 그 빛을 발화하기 시작한 기분이랄까? 사람은 각자만의 힘듦과 고통이 있고 또 각자가 이겨내는 속도와 생각이 다르기에 내가 가는 길이 옳고 그른지는 '나'만이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지금까지 삼재라는 말을 전혀 생각 안 하고 있다가 작년부터 삼재에 걸리게 되었는데 너무 신경 쓰고 있는 날 보더니 엄마왈 "계절에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있듯이 인생에도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있다고 생각해 보렴"이라고 말해주셨다. 물론 말씀은 더 길게 하셨지만 정말 간략하게 저 문구만으로 모든 것이 이해가 되지 않을까 싶다. 정말 맞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어찌 인생에 꽃 피는 계절만이 있고 또 그 계절만 즐거울 것이며, 또 어찌 겨울이라고 해서 '안 좋다'라고 할 수 있겠는가.
대한 다음날이 바로 우리나라 큰 명절 '설'이다. 다들 즐거운 설 명절 되시고, 2023년 흑토끼띠의 해에 하고자 하는 바 모두 이루시고 힘차게 도약하는 한 해가 되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 민속 대백과사전
입춘에서 대한까지 24절기
그림으로 만나는 사계절 24절기
'한국어 > 한국어 교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민속문화이야기 - 24절기 우수 (0) | 2023.02.19 |
---|---|
한국민속문화이야기 - 24절기 입춘 (0) | 2023.02.04 |
한국어 교육 계획안 - 초급_상황,맥락,도입 #<동작동사>(으)려고 하다 (3) | 2023.01.12 |
한국민속문화이야기 - 24절기 소한 (0) | 2023.01.06 |
한국어 교육 계획안 - 초급_활용 #-을래요? (0) | 2022.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