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한국어 교사 공부

한국어 문법 교육론-교수법

by 아모_RE 2022. 7. 31.
728x90
반응형

◈ 문법 번역식 교수법

수업 목표는 언어의 형태상의 체계를 알고 재생산하는 것이다. 

 

문법 번역식 수업체계

  • 말하기:읽기/번역/쓰기 등을 강조하며 많은 어휘와 문법 연습에 초점을 두었다. 학습자의 실제적인 한국어 말하기 능력으로 전이되지 못한다는 약점이 있다.
  • 쓰기:외국어 문학작품을 읽는 것에 중점을 두었기에 읽기/쓰기를 강조했다. 실제 담화 상황에 적용하기 힘들었다.
  • 문법 번역식 수업은 해당 학습자의 모국어로 이루어졌다. 
  • 연습 유형:규칙에 따라 맞는 문장 만들기, 빈칸 텍스트 넣기, 모국어에서 외국어로 외국어에서 모국어로 번역 등 문어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 장점:언어체계를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다. 
  • 단점:문법 지식은 많으나 일상회화 능력이 낮다.
  • 문법 교수법→정확성이 요구되었다.

◈ 청각 구두 교수법/시청각 교수법

제2차 세계대전 전후에 군사적, 정치적 목적을 위한 교수법이 등장했다.

 

청각 구두/시청각 교수법 수업체계

1. 특성

  • 문법번역식 방법론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다.→수업 시 형식적인 문법 설명만 수반되었다.
  • 청각 구두/시청각 교수법→유창성이 요구되었다.
  • 목표어를 익히고자 반복연습을 강조했다.

2. 말하기

  • 목표어를 대화 형식으로 교사의 발화를 듣고 따라 하는 식의 응답을 반복했다.
  • 분석보다 유추를 추구하고 목표어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언어 습득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다.
  • 수업 유형:짧은 대화 제시, 연습과 발음, 유형 연습, 대화연습 등 구어 중심의 문형 연습 활동이 이루어졌다.
  • 연습 유형:대화 암기, 확장 연습, 대치 연습, 대화 완성과 응답 연습 등이 있다.
  • 자동적인 의사소통을 지향하는 학습특성상 학습자의 유창성을 발달시키지만 다양한 의사소통상황에 대처능력은 떨어진다.

3. 쓰기

  • 행동주의와 구조주의의 교수법에 입각했다.
  • 쓰기는 문법과 읽기 활동의 보조 수단으로만 사용되어 쓰기 역할이 축소되었다.

4. 연습 유형

  • 패턴 연습, 전환 연습, 채우기 연습, 그림으로 조정된 끼워 넣기 연습, 대화 장문을 재생산하고 역할극 하기 등이 있다.

5. 장단점

  • 장점:문법 규칙을 몰라도 곧바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 단점:교사 중심/교재중심으로 이뤄져서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조종된 객체 취급을 받는다. 맥락을 고려한 담화 구성이 어렵다
반응형

◈ 결과 중심 교수법

Bartlett(1981)에 의하면 언어 사용의 실제적 적용 측면이 ↑ 언어환경 접근의 언어 습득이 ↑

 

결과 중심 교수법 수업체계

  • 학습자가 스스로 문법 규칙을 찾도록 동기부여를 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가 문법 규칙을 제시하고 그것을 학습자가 암기하도록 하는 수업이다.
  • 결과 중심의 문법 교육은 특정한 문법 구조에 초점을 두고 의미를 해석하여 문법 규칙을 이해하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 연습 유형:일반 문법을 소개하고 문장 연습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형적인 교실 언어를 사용한다.
  • 장점:학습방향에 대해 뚜렷한 감각을  제공하고 높은 수준의 궁극적인 성취에 이바지를 할 수 있다. 
  • 단점:학습자에게 관련이 없는 형식들을 지나치게 학습하고 반복하도록 한다. 자연스러운 담화를 기대하기 힘들다.
  • 문법 규칙에 초점→학습자 표현 능력을 위축(정서 위축)

◈ 의사소통식 교수법

- 1970년대 후방과 1980년대에 학습자 중심의 의사소통 활동으로 발전되었다.(교사 중심 x)

- 크라셴(Krashen)의 모니터 가설을 통해 의사소통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으로 자연스럽게 학습자의 언어 능력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 크라셴(Krashen)의 입력 가설 i+l

 

의사소통식 교수법 수업체계

1. 특성

  • 의사소통식 교수법→제2언어에 노출되고 경험하면 그 언어에 대한 직관적 '정확성'에 도달된다고 생각했다.
  • 교사가 학습자를 최우선으로 존중했어야 했기에 정형화된 문법교육이나 학습자 오류 수정에 소극적이었다.
  • 연습 유형:교실 언어에서 벗어나 일상에서 하용하는 용어, 담화 맥락을 중요시했다. →정확성보다 '용인성', '유창성', '사회 언어 요소', '담화적 요소' 중시로 말하기 능력을 모색했다.
  • 학습 초기 단계에서는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유의미한 교육'을 하고자 했다.
  • 쓰기를 문자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보았다.

2. 문법교육

  • 언어 행위를 위한 도구로서의 문법
  • 언어 기술 대상으로서 말과 텍스트
  • 학습자들은 교재 속의 대화 주체자가 아니라 학습자 자신으로 말하고 행동한다.
  • 시각적인 학습도우미
  • 모국어 참작

즉, 의사소통 교수법에서 문법 교육은 목표 언어가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수단과 도구 역할이었다.

 

3. 장단점

  • 장점:학습자가 스스로 문법의 개념과 기능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한다.
  • 단점:교사의 개입이 적어 학문적이고 전문적으로 말해야 하는 레벨 단계까지 가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즉, 고급 수준의 숙달도와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 과정 중심의 교수법

담화를 구성하는 과정에 대한 기술과 전략(과제)을 계발하는데 목표를 둔다.

 

과정 중심 교수법 수업체계

1. 특성

  • 언어 사용에 대해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언어 자원을 늘려가는 자기표현 능력을 성취하기를 바라는 교수법이다.
  • 교사는 과제계획을 잘 조절하여 선행 학습 요소(과제)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끌며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 학습자 자신의 자기표현에 초점이 모아져 있기에 학습자 자신에게 주어지는 책임이 크다.

2. 장담점

  • 장점:문법에 대한 흥미와 문법교육의 필요성을 실감하지 못하는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이다.
  • 단점:학습자가 스스로 문법의 규칙을 발견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의사소통과 마찬가지로 정확성에 한계가 있다. 

3. 캔들린(Candlin) 좋은 과제 → i+l교육

  • 좋은 과제는 학습자를 격려하여 의미 및 목적 있는 언어 사용에 유의하게 한다.
  • 좋은 과제는 학습자에게 전략과 기술에 대하여 고유한 선택을 요구하면서, 학습자 자신의 고유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융통성을 제공한다.
  • 좋은 과제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학습자 자신의 인성 및 태도를 함께 포함한다.
  • 좋은 과제는 도전적이지만 그럼에도 요구 사항이 너무 과도하지 않아야 한다.
  • 좋은 과제는 언어 사용 과정에 대하여 학습자의 자각을 일깨우고, 학습자에게 자신의 언어 사용을 되돌아보도록 장려한다.

◈ 기능 중심의 교수법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교수하는 접근법이다.

 

기능 중심 교수법 수업체계

1. 특성

  • 언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초점을 두고 있다.
  • 의미에 초점→ 문법에 초점 : 그러나 이는 학습자보다 문법이 우선이라는 것이 아니다. 
  • 학습자가 자기 평가/동료평가를 통해 스스로를 동기화시키고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학습자끼리의 상호작용 중시
  • 학습자들은 교실 언어에서 벗어나서 자유로운 담화 기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2. 학습

  • 대화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한다. ABAB형태
  • 실제적인 상황을 가정하에서 학습자 서로의 상호 간의 대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유사한 표현, 비교되는 표현, 반대되는 표현 등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표현의 사례를 접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3.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오류

  • 학습자가 말하는 도중 오류를 범할 때 교사가 즉각적으로 수정해주는 상황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Brown)
  • 교사는 학습자 편에 서서 상황을 이해하며 오류 수정을 해 나가야 한다. 
  • 오류 수정보다 학습자가 우선이다. 

 

요즘 한국어 교실의 수업 분위기는 학습자 중심으로 통합 교수법을 지향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