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한국어 교사 공부

한국어 교수 방법론 - 의사소통식 교수법

by 아모_RE 2022. 11. 6.
728x90
반응형

2022.07.31 - [공부/한국어 교육] - 한국어 문법 교육론-교수법

* 내가 외국어를 배울 때 경험했던 수업 형태에 대해서 생각해보기. 

 

한국어 교육 관련하여 '한국어 교수법 연대표'를 만들어서 간략하게 요약해 보았다.
교수법 연대표

* 현재 우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함에 있어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교수법이라도 할 수 있겠다. 통합적인 학습 형태로 교사는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하고 교수해야 하겠지만 그만큼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괜찮은 교수방법이라 생각한다. 저번 공동체 학습법과 마찬가지로 필자가 관심 있게 공부하는 교수법이다. 

 

◈ 의사소통식 교수법

1. 의사소통식 교수법의 개념 및 배경(역사)

- 영국의 상황중심 교수법에 반발한 응용언어학자들에 의한 개혁 운동에서부터 나오게 되었다. 이들은 언어교수는 의사소통 능력 숙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생각했다. (춈스키의 영향 있음)

더보기

상황중심 교수법 : 상황 제시 →언어구조 학습 

-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의 활발한 교류로 인해 교류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끼리 상대 국가의 언어(외국어)에 대한 인식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이는 외국어 교육이 방향성을 바꾸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즉 여러 국가들의 교류가  '의사소통'을 위한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 의사소통이란 무엇인가?를 놓고 그 본질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언어 교수의 목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이는 의사소통의 상호 의존성(듣기/쓰기/읽기/말하기 통합)을 인정하고 이를 외국인 학습자를 지도하는 절차를 생각하게 하는 목적을 두고 있다. 

반응형

2. 의사소통식 교수법 특징

- 통합식 교수로 인해 매우 포괄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보편적인 모형이 존재하지 않는 접근 방법이다.(approach)

- 문어와 구어의 통합 교수법으로 상호작용을 중시하여 의미(전달)에 지대한 관심으로 그에 따른 목적(기능)을 향상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이는 언어는 의미 표현의 체계이며 언어의 주된 기능은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라 한다.

- 전통 교수법 + 의사소통적인 의미 범주 = 의사소통식 교수법 (의미 중시)

 

3. 의사소통식 교수법 장단점

- (장) 의사소통식 교수법은 외국인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초반부터 듣기/말하기/읽기/쓰기를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언어의 형태보다 언어의 기능을 중시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이 고루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장) 교사 중심이면서 또한 교사 중심이 아닌 교수법으로 외국인 학습자에게 학습과정을 '함께 해 나간다'는 느낌을 주어 학생을 과정에 참여시키면서 동시에 유의미한 학습이 가능하다. 

- (단) 교재마다 다르겠지만 대부분의 교재는 문법의 형식만 나눠두지 않고 통합적인 단락으로 구성하여(의사소통 기능) 한 단원을 공부할 때 여러 문법을 익혀야 하는 부담감이 있거나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 이 부분에 필자는 교사의 역할이 다소 중요할 것이라 본다. 최대한 학생의 입장에서 생각해서 그 교실의 학습능력을 파악하여 진도를 계획하고 나가야 할 것이다.

4. 수업(Finnocchiaro & Brumfit 1983)

- 도입 : 동기 유발을 위한 간단한 상호작용

- 제시 : 교사의 모형 제시 및 대화 연습 → 질의응답(일반적인 상황/학생 개인의 상황) → 교사와의 대화를 통한 의미적 이해 → 규칙성 발견(학습자 스스로)

- 연습 : 지금까지 했던 활동을 인식하고 스스로 깨우치기(해석) →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 활동으로 구두 발화 활동 → 연계 및 확장 활동(쓰기)

- 마무리 : 구두 학습 평가 및 학습 마무리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