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국어/한국어 교사 공부66

한국어 교육 활동 및 계획 - 공동체 언어 학습법 2022.10.28 - [공부/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수 방법론 - 공동체 언어 학습법 * 공부의 완성은 누군가에게 지식을 전달하라는 것이라고 했으니, 필자가 공부한 것을 토대로 '외국인 학습자'와 수업을 하는 것처럼 계획서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 공동체 언어 학습법 수업(모국어&목표어/그룹수업) 더보기 * 주의!!!! 오늘의 활동 및 계획에는 전통 공동체 언어 학습법과 다소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한국어 수업을 들을 때 여기까지는 수업시간에 들었던 내용이었고, 필자는 주로 학습자 위주의 수업을 진행시키기고 싶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도 좀 변형을 주기도 했습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도입 : 인사/학습 내용 제시 (3 min) 더보기 녹음기를 중심으로 학습자는 둥글게 앉는다. 외국인 .. 2022. 10. 29.
한국어 교수 방법론 - 공동체 언어 학습법 2022.07.31 - [공부/한국어 교육] - 한국어 문법 교육론-교수법 * 내가 외국어를 배울 때 경험했던 수업 형태에 대해서 생각해보기. * 다양한 교수법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공동체 언어 학습법'은 필자가 가장 관심이 가는 학습법이다. 물론 학습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조금 수정하고 싶은 부분이 없잖아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무척 흥미로운 학습법임은 분명하다. ◈ 공동체 언어 학습법 1. 공동체 언어 학습법의 개념 및 배경(역사) - 청화식 교수법의 행동심리학에 반대하여 단점을 극복하고자 개발하게 된 교수법 중 하나다. - 칼 로져스의 '인본주의 심리학'에서 시작하여 탄생한 '인본주의적 교수 기법'이 있다. - 존 듀이는 지금까지 해 왔던 방식의 '교사 중심'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으로 학습자가 자유.. 2022. 10. 28.
한국민속문화이야기 - 24절기 상강 2022.10.08 - [분류 전체보기] - 한국 민속문화 이야기 - 24절기에 대한 필자의 시작 글 ◈ 24절기 이야기 1. 상강(霜: 서리 상 / 降: 내릴 강) 10월 23일 24절기 중 18번째 절기이며, 한자 뜻 그대로 서리가 내리를 시기를 뜻하는 날이다. 이때부터 이제 늦가을이 되는데 낮에는 날이 좋고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지면서 서리가 내리는 때이다. 또한 일교차가 큰 만큼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는 시기다. 초 가을 무렵부터 시작된 '추수'는 이때쯤 되면 모두 마무리한다. 그리고 녹색이던 나뭇잎이 갖가지의 색으로 물이 들어 '상강'에 '단풍놀이'를 가기에 적격인 날이라 하겠다. 옛날 풍습 농사일을 마무리하고 농경에서도 겨울맞이를 시작했다. 조선시대에는 상강에 국가의례인 '둑제'를.. 2022. 10. 23.
한국어 교육 계획안 - 초급1 #배워봐요 2022.10.02 - [공부/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 계획안 - 초급1 #도입 2022.10.07 - [공부/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 계획안 - 초급1 #본문 1. 안녕하세요? - 학습내용 문법 : 은/는, 이에요/예요 어휘 : 안녕하세요?, 안녕,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계세요, 이름이 뭐예요?, 저, 이름, 사람, 선생님, 학생, 한국, 한국 사람, 미국, 중국, 프랑스, 브라질 - 수업 개요 1교시(50분) : 도입(10) / 본문(15) / 배워 봐요(25) 2교시(50분) : 문법 및 표현(50) 3교시(50분) : 듣고 말해 봐요(25) / 읽고 써 봐요(25) 4교시(50분) : 함께해요(30) / 선생님과 함께 문화를 배워요(15) / 정리(5) 2. 한국어 교육 계획안 - 초.. 2022. 10. 22.
한국어 교육 활동 및 계획 - 청화식 교수법 2022.10.14 - [공부/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수 방법론 - 청화식 교수법(청각구두식 교수법) * 공부의 완성은 누군가에게 지식을 전달하라는 것이라고 했으니, 필자가 공부한 것을 토대로 '외국인 학습자'와 수업을 하는 것처럼 계획서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 청화식 교수법 수업 (목표어/귀납적) - 도입 : 인사 및 복습, 동기 부여 (5 min) 더보기 외국인 학습자와 인사하고 오늘의 날짜, 날씨, 출석을 확인한다. 학습자가 스스로 발화를 할 수 있도록 교사는 지난 학습과 관련한 대화로 복습(유도)를 진행한다. (-이에요/예요) T:카테리나씨, (그림카드자료를 꺼내 가리키며) 어느 나라 사람이에요? C:이탈리아 사람이에요. 오늘의 학습에 관련해서 대화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한다... 2022. 10. 21.
한국어 교수 방법론 - 청화식 교수법(청각구두식 교수법) 2022.07.31 - [공부/한국어 교육] - 한국어 문법 교육론-교수법 * 내가 외국어를 배울 때 경험했던 수업 형태에 대해서 생각해보기. ◈ 청화식 교수법(청각 구두식 교수법) 1. 청화식 교수법의 개념 및 배경(역사) - 1920년대만 해도 유럽에서는 직접식 교수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때 미국은 '읽기 중심'의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비슷한 외국어 교수법을 고수하고 있었고 외국어 언어 교육 발전에 대한 시도를 하지 않았다. 그러고 미국의 제2차 세계대전 참전이 외국어 교육 방법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육군 특수훈련 프로그램-ASTP) - 구조주의 언어학 → 음운과 문법적 구조 중시/언어는 '말하기'로 구어 중심 - 행동주의 심리학의 학습이론 → 경험주의에 바탕/자극-반영-강화/기계적 습관 형성.. 2022. 10. 14.
728x90
반응형